흥행 대박 '겨울왕국2'에 대한 불편한 진실! 스크린독과점 이대로 좋은가?
상태바
흥행 대박 '겨울왕국2'에 대한 불편한 진실! 스크린독과점 이대로 좋은가?
  • 이경헌
  • 승인 2019.11.29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크린 독과점' 자율규제로는 해결 안돼..

'스크린 상한제' 등 규제를 위한 제도가 아닌 국내 영화산업 보호와 육성을 위한 제도로

겨울왕국2가 개봉 9일 만에 누적 관객수 600만(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관객을 동원하면서 연일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지난 2014년에 개봉한 겨울왕국1에서도 누적관객수가 1000만 명을 넘어 이미 개봉 전부터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이러한 흥행을 견인하는 이면에는 ‘스크린 독과점’이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있다. 물론 겨울왕국2는 작품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흥행요소로 인해 인기를 끄는 것은 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처럼 압도적인 관객수를 견인하는 중심에 ‘스크린 독과점’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스크린점유율을 살펴보면, 개봉일인 지난 21일에는 2343개로 스크린점유율(39.7%)을 시작으로 22일 2331개(39.7%), 23일 2642개(45.3%), 24일 2648개(46.1%), 25일 2190개(38.0%), 26일 2226개(37.9%), 27일 2094개(33.3%), 28일 1922개(31.5%)의 스크린을 점유해 평균 40%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보다 앞서 개봉한 ‘블랙머니’인 경우 스크린 800여 개(점유율 14%)이며, 그리고 27일 개봉한 ‘나를 찾아줘’가 개봉당시 875개(13.9%)로 두 작품을 합해도 ‘겨울왕국2’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영화=겨울왕국2

스크린 독과점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는 아니다. 지난 3월 개봉한 영화 ‘캡틴마블’은 약 2000개의 상영관을 유지하며 40%에 육박하는 스크린 점유율을 기록했고, 지난 7월 개봉한 영화 ‘스파이더맨 : 파 프롬 홈’ 역시 2000개가 훌쩍 넘는 스크린을 점유하며 35%에 달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 특히 ‘어벤져스 : 엔드게임’의 경우에는 최고 58%의 스크린 점유율을 나타내기도 했다. 물론 국내 일부 영화에서 높은 스크린 점유율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작년에 개봉한 ‘신과함께- 인과 연’ 대부분 2000개미만으로 역대 누적관객수 1위를 기록한 ‘명량’만 해도도 1,587개인 점을 감안한다면 마블이나 디즈니 영화에 대해서만 많은 스크린을 배정한다는 점은 심각하게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영화=어벤져스 : 엔드게임

 

우리나라는 ‘스크린 독과점’에 취약한 실정이다. 영화제작, 배급, 상영과 관련한 거의 모든 것이 대기업에 편중되어 있고 과도한 상업성만을 추구하는 자유시장로 운영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스크린 독과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스크린 상한제 도입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안병호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위원장은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승자독식, 약육강식이 당연한 것이라면 우리 삶과 우리네 세상만사는 어떻게 되겠나. 마땅히 개입해야 하는 제도”라고 강조하였다.

물론 관람객의 관람욕구, 관객 수요, 시장경제 논리의 측면에서 스크린 상한제를 비판하는 사람도 있어 스크린 상한제 도입이 가장 바람직한 답안이라고 볼 순 없지만 관객, 창작자, 극장이 모두 공정할 수 있는 방법이 시급한 것은 현실이다.

 

영화진흥위원회의 2018년 소비자행태조사에 따르면 ‘스크린 독과점 현상으로 원하는 영화를 보지 못한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전체 평균 30% 가량이 ‘그렇다’고 답했다. 19세~24세 남성은 37.2%, 19세~24세, 25세~29세 여성은 각각 49.6%, 50.1%가 스크린 독과점 현상으로 원하는 영화를 보지 못했다는 조사결과는 이러한 스크린 독과점의 문제를 잘 나타내고 있다.

‘겨울왕국2’를 제작한 미국에서도 스크린 점유율이 30%를 넘기지 않고 있으며, 프랑스는 영화법에 따라 규제정책과 지원 정책을 병행하여 스크린 15~27개 복합상영관에서 스크린 점유는 최대 4개로 제한하는 등 자국의 문화 다양성 확보와 육성을 위한 대책이 있는 반면 실효적 규제가 미약한 우리나라인 경우는 규제를 위한 제도라기 보단 보호와 육성을 위한 제도마련에 힘을 실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