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거지가 없도록 했던 제주의 식사문화와 청렴
상태바
[기사] 거지가 없도록 했던 제주의 식사문화와 청렴
  • 유태복 기자
  • 승인 2020.07.24 08: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창용 서귀포시 대천동주민센터 동장
강창용 동장
강창용 동장

친근하게 지내는 지인과 점심을 먹으면서 식사비를 필자가 냈다. 그러자 지인이 “언제나 동장님이 식사비를 냄수과? 굳이 경해야 되쿠가?”하면서 불편한 속내를 드러낸다.

또 언젠가는 지역의 선배로부터 "청탁금지법이 생긴 이후 공무원과의 소통이 매우 힘들다"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는 또 “예전에는 함께 식사도 하면서 친목을 도모하기도 하고, 그런 관계 속에서 새로운 사람과의 인간관계를 형성해 나가기도 했는데, 이제는 그런 생각조차 못 하는 시대가 되었다. 제주 고유의 공동체 문화가 사라져가는 것 같다.”라고 불만 섞인 소리를 하였다.

어떤 때는 식사하러 갔는데 지인이 먼저 나가면서 식사비를 지불하고 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 때는 필자 본인이 불편하다. 그런데 아직도 우리 세대는 먼저 나가면서 친한 사람의 식사비 정도는 내지 않으면 뭔가 미안하게 생각하는 문화가 남아있다가 보니 식사하러 갔을 때 친한 사람과 만나게 되는 상황이 불편하다.

예전에 라디오 방송에서 오랫동안 활동하였던 분으로부터 제주에 거지가 없는 이유는 밭일하다가 점심이든 간식이든 먹는데 지나가는 사람이 있으면, ‘밥 먹엉 갑서’하고 권유를 하는 공동체 문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애초에 거지가 존재할 수 없는 구조였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만큼 제주지역사회에서 함께 식사하고 권하는 문화가 오랜 기간에 걸쳐 자리매김하고 있었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이제 시대가 변하여 함께 식사하는 것조차 눈치를 보아야 하고, 꺼리는 시대가 되었다. 서울의 모 구청에서는 감사담당관실에서 청렴 식권을 제작하여 부서에 배부하고, 부서에서 외부인과 식사 시에 청렴 식권을 활용하도록 하는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공무원이 식사비를 내거나 1/n 하는 것이 점차 익숙해져야 하겠다. 청렴이 인간관계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공동체 문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동안에 관행과 익숙함에 젖어 인식하지 못하던 불합리가 이제 정상으로 되어 가고 있음을 느껴야 하겠다. 이와 같은 청렴 현상이 사회 저변에 하루속히 안착하여 청렴 1등 제주가 되기를 희망해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