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제주통계연구–1」, 인구통계편 발간
상태바
제주도의회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제주통계연구–1」, 인구통계편 발간
  • 이경헌
  • 승인 2020.01.08 08: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 통계지표 개념, 제주현황 및 타지역과 비교, 관련 정책 등 수록
43개 읍면동 중 초고령화 이미 16곳, 생산연령(15~64세)인구 증가폭 급격 둔화
피할 수 없는 고령화 대응과 지역간 불균형 완화를 위한 적극적 인구정책 필요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정책연구실은 7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제주통계연구-1, 인구통계」편을 발간했다.
정책연구실은 현재 및 미래세대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도민 일상생활에 대한 통합적 이해에 기반 한 정책수립, 집행결과모니터링, 대안모색 등의 과정이 객관성과 합리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특히 통계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매개변수를 식별하여 정책과정에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이해를 돕고자, ‘제주통계연구’ 자료집은 여러 행정 및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공개 자료를 기반으로 하되, 단순통계의 제공에 그치는 것이 아닌, ①주요통계지표 개념 ②제주현황 및 변화추이, 비교 그리고 ③관련정책 등 포괄적 관점에서 주석을 제공하고, 읍/면/동 단위의 자료까지 상세히 전달할 것이라고 발간취지를 밝혔다. 우선 모든 정책의 기반인 ‘인구통계’편을 시작으로 경제, 산업, 복지 등의 다양한 분야의 통계연구집을 시리즈물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했다.
7일 발간된 ‘인구통계’편에 따르면, 약 70만명인 제주인구는 경기, 세종을 제외하고 타지역 보다 높은 성장세(2000년比 제주 1.3배, 전국 1.1배)를 보였다.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전인 2005년 대비 제주인구는 20.3% 성장(제주시 22.1%, 서귀포시 15.8%) 했으며, 지역별로 보면 아라동(170.7%), 삼양동(157.2%), 오라동(154.4%) 순으로 급증한 반면에 추자면(-38.4%), 일도1동(-28.9%), 정방동(-26.0%), 중앙동(-25.7%) 등 15개 지역은 감소로 지역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생산연령인구층(15~64세)의 증가폭이 급감하고 있는데(전년말비 2016년 +13.6천명 → ‘17년 +10.9천 → ’18년 +7.5천 → ‘19.11월 +1.1천 ), 생산연령인구는 소비인구이기도 하고, 유소년 및 노년인구를 부양해야할 연령층이기 때문에 부양부담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 예상된다. 제주는 총인구 중 65세이상 비중이 14.9%인 고령사회이며, 이미 초고령사회(20%이상)에 진입한 읍면동도 추자면, 한경면, 일도1동, 중앙동, 천지동 등 16곳이나 된다.
한편, 외국인주민(=국적미취득자+국적취득자+외국인주민자녀) 수는 2006년 2,645명에서 2018년 약 31,032명으로 11배 이상 성장, 제주 총인구의 약 4.7%를 차지하며 외국인주민이 많이 거주하는 곳은 노형동 3,027명, 연동 2,678명, 한림읍 2,508명, 대정읍 2,155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산연령층 감소, 고령화 등의 인구구조 변화로 경제성장율 감소와 함께 경제활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지역의 경우에는 특히 일자리 및 소득 감소, 인구유출, 지방세 감소, 공공인프라 악화 등으로 빈곤의 악순환 구조로 고착될 수 있어, 적극적인 인구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김태석 의장은“고령화는 피해갈 수 없는 어쩔 수 없는 현실로 지역 간 편차도 커지고 있으니, 지역에 맞는 인구 유출방지 및 유입 증대 전략을 세밀히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특히, 제주 지역의 자원과 인재를 적극 활용하여 지역 역량을 키우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중점을 두어야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